본문 바로가기
- 기타 -

위믹스(WEMIX) 사태 총정리

by 채소아빠 2022. 11. 27.

DAXA, 위 믹스 상폐 찬성에 표 던진 업비트와 코인원

- 업비트/코인원 찬성, 빗썸-상장유예 연장, 코빗/고팍스 기권
- MZ 세대 등 개미 투자자 손실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
- 업계 "빗썸에 단독 상장 한 계기로 업비트에 찍혔다" 의견도 나와

국내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코인원이 위 믹스 거래지원 종료(상장폐지)에 강한 찬성을 유도하며 결정을 주도한 것으로 25일 확인됐다.
지난 24일 디지털 자산 거래소 협의체(DAXA, 이하 닦사)는 위메이드의 디지털 자산 위 믹스에 대해 상장폐지를 결정했다.

위메이드 장현국 대표가 25일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위믹스의 거래지원 종료에 대한 입장을 밝힘

논의에 참석했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위 믹스 상장폐지를 강하게 밀어붙인 거래소는 업비트와 코인원으로 알려졌다.
다른 닦사 소속 거래소 중 코빗과 고팍스는 기권했고, 빗썸은 거래유의 종목 연장을 주장하다가 박사는 한 목소리를 내야 된다는 이유로 어쩔 수 없이 찬성으로 돌아선 것으로 전해졌다. 닦사가 위 믹스를 투자유의 종목으로 공동 지정한 것은 지난달 27일. 위 믹스 유통량 계획 정보와 실제 유통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게 이유였다.
이후 당사는 투자유의 종목 지정 기간을 2차례 연장해가며 위 믹스 거래지원을 논의해왔다. 그러다 24일 상장 폐지를 결정했다. 이유는 크게 3가지다.
△위 믹스의 중대한 유통량 위반
△투자자들에 대한 미흡하거나 잘못된 정보 제공
△소명 기간 중 제출된 자료 오류 및 신뢰 훼손 등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사태로 투자자들이 막대한 규모의 피해를 입을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익명성이 특징인 디지털 자산 특성상 위 믹스 보유자 규모를 정확하게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하지만 디지털 자산 정보 사이트 코인마켓 캡에 따르면, 위 믹스의 유통 공급량은 2억 4,400만 개(25일 오전 기준) 수준이다. 투자자들의 손실이 수천억 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업비트와 빗썸,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 원화 거래를 지원하는 국내 5대 거래소는 ‘루나 사태’를 계기로 지난 6월 ‘공동 협의체’를 만들었다. 그리고 출범 당시 △디지털 자산 거래지원 개시부터 종료까지 투자자 보호 위한 규율 마련 △위기대응 계획 수립 통한 공동 대응 △정보제공 및 투자 위험성에 대한 인식 제고 등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익명을 요구한 업계 관계자는 "과거 위 믹스가 빗썸에 단독 상장되며 디지털 자산업계의 슈퍼갑인 업비트에 단단히 찍힌 상태였다"며 "이번 DAXA 협의 결정을 이용해 업비트가 코인 재단 군기 잡기 일환으로 위 믹스를 제물로 삼지 않았나"라는 강한 의구심을 제기했다.

이어 "최근 들어 업비트의 사업전략과 동선을 같이 하고 있는 코인원은 업비트의 결정에 동조했을 것이고 코빗과 고팍스는 기권을 하다 보니 사실상 과반수 이상을 점유한 업비트의 결정이 피의 금요일을 불러온 것"이라고 부연했다.

사실상 위메이드의 막연한 소명 대처와 '슈퍼갑' 업비트의 대책 없는 결정으로 인해 위 믹스 투자로 손실을 떠안게 된 개인투자자들의 아픔은 배가 될 전망이다.

자진 공시하겠다던 위메이드 '깜깜이 유통'으로 계속된 혼선 자초

- 지난 1월 미공시 대량 매도 후 "공시하겠다"라고 약속
- 담보 물량, 스테이 킹 등에 대한 부정확한 공시로 문제 키워

지난 24일 디지털 자산 거래소 협의체(DAXA, 이하 닦사)로부터 상장폐지 결정을 받아 든 위메이드는 그동안 자의적 유통량 기준과 '깜깜이 유통'으로 사태를 키워왔다.

지난 1월 위메이드는 약 1600억 원어치 상당의 위 믹스를 투자자들에게 알리지 않고 매도했다가, 뒤늦게 이 사실을 알게 된 투자자들의 반발을 샀다. 당시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는 한 언론 인터뷰에서 "백서에 명시한 대로 위 믹스를 통해 자금을 확보하고 이를 시장 생태계 조성을 위한 재투자에 쓸 계획"이라며 "이번처럼 몰래, 그것도 한꺼번에 매도했다는 오해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앞으로는 공시를 의무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위메이드가 위 믹스 3.0 론칭을 위해 스테이블 코인을 모으는 과정에서 또 다른 문제가 불거졌다. 자체 스테이블 코인 발행을 위해 "위메이드가 디파이 프로토콜 '코코아 파이낸스'에 담보로 맡긴 3850만 개 등이 유통량에 반영되지 않았다"는 논란이 투자자 커뮤니티에서 터져 나온 것이다.

이에 박사는 지난달 27일 위 믹스를 '투자유의 종목'으로 지정했다. 위메이드 측은 초과 유통된 코인은 생태계 투자 차원에서 대출 담보가 유동성 풀 공급 등에 쓰였으며, 이는 시장에 풀리지 않기 때문에 유통량으로 산정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거듭된 문제 제기로, 위메이드는 보유한 코인 전량을 제삼자 수탁(커스 터디) 업체에 수탁하고 예상 유통량이 변경될 시 모든 소통 채널에 사전 공시하겠다고 발표했다. 코코아 파이낸스에 예치한 위 믹스 담보를 회수하고자, 빌려왔던 코코아 스테이블 달러(KSD) 전액을 상환하기도 했다.

그러던 중 위 믹스는 또다시 논란에 휩싸였다. 위 믹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노드 카운슬 파트너 '40원 더'의 스테이 킹 물량인 6000만 개 규모의 위 믹스도 유통량 공시에서 빠졌다는 의혹이 제기된 것.

업계에서는 자의적인 유통량 기준과 더불어 위메이드의 '깜깜이 운영'이 사태를 키웠다고 분석한다. 익명을 요구한 디지털 자산 전문 컨설턴트는 "코스닥 상장사인 위메이드가 공시의 중요성을 모를 리 없고 투명하지 못한 소통으로 몇 차례 홍역을 치렀다"며 "그럼에도 방식을 바꿔가며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미칠 행위를 몰래 지속한 것은 기만"이라고 분석했다.


'유통량' 기준 없는데, DAXA 무책임한 상폐 결정에 개미들만 '피눈물'

-상폐 주요 원인 중 하나인 '유통량'에 대한 명확한 기준 제시 없어
-전문가들 "코인 시장에도 증권예탁원 같은 공신력 수탁기관 필요"

디지털자산 거래소 협의체(DAXA, 이하 닥사)는 지난 24일 위메이드의 디지털자산 위믹스 거래지원종료(상장폐지)를 결정했지만 닥사는 상장폐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한 '유통량 위반'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제시하지 않았다. 분명한 기준이 없어 시장이 혼란을 겪는 상황에서, 기준 마련에 앞서 '위반 딱지'를 붙이고 회초리를 든 것이다. 

장현국 위메이드 대표도 이를 의식한 듯 25일 긴급 기자간담회에서  “유통량에 대한 정의와 관리 방법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달라고 업비트에 요청했지만 지금까지 받지 못했다"고 말했다. 닥사는 출범 당시 "디지털 자산 거래지원 개시부터 종료까지 투자자 보호 위한 규율 마련을 위해 협력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그동안 '위믹스 사태'는 유통량 기준을 놓고 위메이드와 업계의 공방전 양상으로 흘러왔다. 우선 업비트는 지난 달 27일 "위믹스(WEMIX) 유의 종목 지정 안내"라는 공지에서 위믹스 유의 종목 지정 사유를 이렇게 밝혔다. 

"업비트 등 DAXA 회원사에 제출된 유통량 계획 정보와 실제 유통량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부정확한 유통량 정보에 관하여 투자자들에 대해 적시에 명확한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지 않은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위메이드는 지난달 30일 “담보 대출, 기업 인수 및 투자 용도로 예치한 위믹스가 유통량으로 잡힌 만큼 실제 유통량과는 차이가 있다”고 해명했다. 이들 물량은 단순히 예치해둔 것으로 거래소에서 실제로 유통되는 건 아니라는 설명이다. 

여기에 이달 초 위믹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노드카운슬파트너 '40원더(40Wonder)'의 스테이킹(예치)한 위믹스 6000만개도 공시 유통량에서 누락됐다는 의혹까지 더해졌다. 

그동안 유통량 논란을 빚은 건 위믹스만이 아니다. 앞서 코스모코인(COSM), 피카(PICA), 픽셀(PXL) 등도 유통량 문제로 유의종목 지정을 받았다. 이중 코스모코인과 피카는 상장폐지됐고, 픽셀은 유의해제됐다. 하지만 이들의 경우 닥사는 실제 시장에 풀린 토큰을 유통량으로 간주했다. 반면 위믹스는 디파이 서비스에 잡힌 담보 등도 유통량으로 간주된 것이다.

이번 사태를 두고 전문가들은 '공신력있는' 유통량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크립토 애널리스트인 김세희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닥사가) 위믹스 관리 능력에 대한 신뢰 회복이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이번 사태를 계기로 유통량의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성후 KDA 회장은 "발행사가 공개하는 유통량은 신뢰도가 떨어지고 수 많은 거래소가 일일이 유통량 측정을 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렵다"며 "공신력 있는 제3의 수탁기관을 도입해 관리의 투명성을 높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