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기타 -159

다양한 떡볶이의 종류별 특징 떡과 부재료를 양념에 볶거나 끓여서 먹는 한국 요리의 하나. 이름은 떡'볶이'지만 일반적으로는 국물과 함께 끓여내거나 끓인 뒤 국물을 졸여내는 요리로, 사실상 탕이나 조림에 가깝다. 이 때문에 국물 없이 기름에 볶아낸 떡볶이는 따로 기름떡볶이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가장 흔한 방식은 고추장을 사용한 빨간 떡볶이고, 간장, 케첩, 카레, 짜장, 크림소스 등의 양념을 사용한 방식도 있다. 순대, 튀김, 라면, 김밥 등과 더불어 한국의 대표 국민 분식 중의 하나이자, 대표적인 길거리 음식 중의 하나이기도 하다. 이 때문에 한국 사람들에겐 분식이나 간식으로 취급받는 데 비해, 외국에서는 분식보다 대표적인 한식, 한 끼 식사용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기본적인 고추장 떡볶이 외에도 다양한 변형들이 존재한다. .. 2023. 3. 6.
마이야르 반응이란? 과연 탄 고기일까?(Maillard reaction) Maillard reaction 프랑스의 의사 겸 화학자 루이 카미유 마이야르(Louis Camille Maïllard, 1878~1936)가 1912년 발견해 공표한 화학반응으로, 한국에서는 스펠링을 보고 마일라드, 메일라드 등으로 발음하기도 한다. 실제로 일본에선 메일라드 반응(メイラード反応)이라고 부른다. 프랑스어가 아닌 영어 발음이 바로 그 발음이기 때문. 요리에서 흔히 쓰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래 마이야르는 요리엔 아무 관심없이 인체 세포 속에서 아미노산과 당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연구하다 발견한 것으로, 나중에서야 이 반응이 요리에서 늘 일어난다는 걸 깨닫게 된 것이다. TV나 모니터에서 스테이크가 지글지글 익어가는 모습을 보면 절로 침이 고인다. 그때 진행자나 출연자가 꼭 하는 말이 있.. 2023. 3. 3.
불타는 트롯맨 특혜 논란 (황영웅 논란), 사과문 및 결국 최종 하차까지 황영웅 상해죄 전과 논란 황영웅은 불타는 트롯맨에 출연해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인물로 1주 차부터 방송 내내 문자투표 1위를 달리며 유력한 우승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심상치 않은 과거 행적이 알려지고 본인이 이를 인정하는 사과문을 발표하면서 엄청난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사실 방영 초반부터도 황영웅이 특혜를 받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비판이 있었으나 호들갑, 혹은 까들의 비난 정도로만 취급되었는데 위의 상해 논란이 나오면서 구체적인 문제 제기가 본격화되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사태가 이만큼 커졌는데도 제작진 측에서 황영웅을 옹호하는 스탠스를 보이자 황영웅이 우승자(혹은 결승전 진출자)로 처음부터 내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렇게 필사적으로 실드쳐주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으로 번진.. 2023. 3. 3.
2022년 최고의 영화들(뉴욕타임즈 선정) 뉴욕타임스의 수석 영화평론가 Manohla Dargis, A.O. Scott이 각각 2022년에 본 최고의 영화를 10편씩 꼽음. 3편이 중복되어서, 해당 블로그에 소개된 영화는 총 17편. 1. EO (예지 스콜리모프스키/폴란드) - 2022 칸영화제 심사위원상 수상작 - "84세인 스콜리모스키 감독은, 이제 갓 데뷔한 영화 천재와 같은 호기로운 모습으로 인생의 가장 본질적인 질문을 말하는 영화를 만들었다."(Manohla Dargis) 2. 쁘띠 마망(셀린 시아마/프랑스) - "재치있는 현대적인 동화, 우아하면서도 탄탄한 이야기."(Manohla Dargis) 3. 놉(조던 필/미국) - 2022 뉴욕비평가협회상 여우조연상 수상작 - "공포, 가족 코미디, 서부극, 공상과학을 뒤섞은 기묘한 영화. '.. 2023. 3. 2.
대피소로서, 전쟁 방공호로서의 지하철역 땅 밑 터널로 다니는 철도인 지하철. 반지하로 다니는 철도 또한 지하철은 1863년 개통된 런던 지하철이 최초이며, 이후 유럽과 아메리카를 거쳐 아시아까지 주요 대도시 지역의 주력 시내교통으로 자리 잡았다. 지하철은 지상과 떨어져 있는 만큼 지상의 사고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전쟁 방공호 가능성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소련을 비롯한 동구권의 지하철역과 베를린 포위전 당시의 베를린 U반은 적군의 공격으로부터 민간인이나 병력을 보호하기 위한 방공호로 사용되었다. 대한민국도 엄연히 전쟁이 진행중인 국가인 만큼 주택용 건축물을 짓는 경우 방공호로 쓸 수 있는 지하대피소를 만드는 것이 의무 사항이었다(1970년에 제정, 1989년 폐지). 그리고 한국이 상대하고 있는 북한은 그 의무 사항이 현재 진행형이며 지하철.. 2023. 3. 2.
로또 1등, 2등 당첨된 경우 해야할 것 가장 쓸데없는 고민이 로또 당첨금을 어디다 어떻게 써야 할지에 대한 고민이라고들 하지만 사람일이 언제 어떻게 될지 알 수 없는 일이다. 미리 로또 당첨 후의 행동요령을 알아보고 혹시나 모를 나의 운에 대비하자. 로또 2등이상 당첨된 경우 해야 할 것 우선 복권 뒷면에 볼펜으로 서명하자. 분실, 갈취, 도난, 소유권 분쟁 등 당첨금 수령인 문제에서 자신의 당첨금을 지켜주는 중요한 근거를 만드는 것이 우선이기 때문. 복권용지 뒷면에는 구매자의 성명, 주민등록번호를 적을 수 있는 공란이 있다. 본래 5만 원 초과 당첨금에 대해 제세공과금을 떼고자 인적사항을 적으라고 만든 칸이지만, 세금문제 전에 자신의 소유물임을 입증하고자 이름과 주민번호를 적어두기에는 안성맞춤이다. 주민번호가 걱정된다면 생년월일+성별 구분 .. 2023. 3. 2.
차세대 신규 여권 도입 / 변경에 따라 달라진 점(디자인) 차세대 여권 도입 2000년대 중반에 인 디자인붐으로 인해 공공 디자인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던 차에, 마침 스위스가 2003년 새로 발행한 여권 디자인이 전 세계적인 호평을 받으면서 한국 내에서도 여권 디자인 변경 여론이 생겨났다. 아울러 2001년의 9.11 테러와 잇따른 테러 이후 도입된 전자여권이 사실상 필수화되면서 여권 체계의 정비가 필요해졌다. 이러한 제반 상황을 고려하여 2007년에 문화체육관광부(당시 문화관광부)와 외교부(당시 외교통상부)에서 2010년을 목표로 여권 디자인을 변경하기로 발표했다. 새 디자인이 마음에 안 든다는 반응도 적지 않게 있는 편이다. 여권은 원래 전 세계 어디에서든지 자신의 국적을 나타낼 수 있는 가장 위상이 높은 개인용 신분증이기 때문에 보통은 국적 강조를 위해 국.. 2023. 3. 2.
여권 발급 비용/ 발급시 준비물 / 발급 받을수 있는곳(해외 포함) 여권은 대한민국 외교부에서 발행하며, 제작은 한국조폐공사에서 한다. 대한민국 여권은 여권으로서 외국을 여행하는 사람의 국적 및 신분을 증명하는 국제 신분증으로 기능하며, 북한을 제외한 지구상의 모든 국가 및 지역에서 통한다. 북한에서는 대한민국 여권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북한을 방문할 때는 방문증명서를 사용한다. 국내에서는 주민등록증과 운전면허증의 존재로 인해 잘 사용하지 않는다. 21세기 들어서 국경지대 이동 편의를 위해 주변국에서 온 주민이라면 여권 말고도 일반 신분증이나 ICAO Doc 9303 기준을 지킨 신분증을 인정하는 국가들이 많아졌지만, 지금도 지구상의 모든 국가에서 단순 신분 증명뿐만 아니라 행정 업무, 출입국심사까지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신분 증명 수단은 책자 형태의 여권(여행 문서).. 2023. 3. 2.